
어느 날 병원에서
' 코드 블루 카디오 '
' 코드 블루 카디오 '
이런 방송이 나올 때가 있다
주로 큰 종합병원에서 쓰는 용어로
긴급한 상황을 알리는 그들만의 용어이다
과연 이 뜻은 무엇일까?
코드블루 카디오란 두개의 단어가 합쳐진 것인데
먼저 코드 블루는 병원 용어로
심정지/호흡정지 환자가 들어왔다는 긴급한 상황을 알리는 말로
바쁘지 않은 의료진은 즉시 지원을 할 것을 알리는 말이라고 한다
카디오는 심장내과를 의미하는 말이다
그레사 코드블루 카디오는 특별히 같은 의미이나
뒤에 해당 진료과를 붙여준듯하다
(정확히 알지못해 죄송.. 검색해도 안나와서.. ㅎㅎ)
코드 레드 | 화재 |
코드 오렌지 | 재난 또는 대량으로 사상자가 발생한 경우 |
코드 그린 | 긴급 대피 명령 |
코드 퍼플 | 위협적인 사람(공격적인 사람) |
코드 앰버 | 유아 납치 |
코드 그레이 | 위험인물(지명수배범등) 출현시 |
코드 옐로우 | 환자가 누락되거나 유실된 경우 |
코드 핑크 | 산부인과/소아청소년과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|
코드 화이트 | 병원 시스템 서버 오류 도는 마비 |
코드 블랙 | 테러등의 위협 or 환자가 너무 많아 의료진이 부족한 경우 (주로 테러, 폭탄등의 위협에 쓰임) |
코드 블루 | 심정지/호흡정지 환자 발생 |
대부분 레드나 블루의 경우는 거의 모든 병원이 동일하나
다른 코드들은 병원마다 다르게 쓰이는 경우도 있다
영국의 경우 미국이나 우리나라와는 다르게
1111 / 2222 / 3333 /4444 등으로 쓴다고 한다
출처 및 참고
https://namu.wiki/w/%EC%9D%98%EB%A3%8C%EC%BD%94%EB%93%9C
https://en.wikipedia.org/wiki/Hospital_emergency_codes
'팁 - 각종 문제 해결! > 팁 - 재밌는 지식과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주식거래시 3가지 세금 (feat.증권거래세율 포함) (0) | 2020.12.09 |
---|---|
SK증권 주식 거래 수수료 (feat. 수수료무료 이벤트) (2) | 2020.12.07 |
NH 투자증권 주식 거래 수수료 (비..비싸네..?) (feat.나무증권/ELW/K-OTC) (0) | 2020.12.06 |
삼성증권 주식 거래 수수료! (거래금액에 따라 달라요!) (feat.삼성 DTS?) (0) | 2020.12.05 |
의료급여 수급권자란? (자격 및 혜택, 신청방법) (feat.희귀난치병도 해당) (0) | 2020.10.11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