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산도가(閑山島歌)
*원문
寒山島月明夜(한산도월명야)
上戍樓撫大刀(상수루무대도)
深愁時何處(심수시하처)
一聲羌笛更添愁(일성강적경첨수)
* 해석
한산섬 달 밝은 밤
수루에 홀로 앉아
큰 칼 옆에 차고
깊은 시름 하는 차에
어디서 일성호가는
깊은 시름 더하누나
백의 종군이후 1597년 8월
명량해전 2달 전쯤 지은 시이다
얼마 남지 않은 배와
반드시 막아야 할 적들과 지켜야 할 백성과 강산
그리고 책임져야할 군졸들과 직무
무적의 장군이 아닌
이기기 위해 치열하게 고민하고 괴로워하던
장군의 모습이 드러난다
*일성호가에 대한 논쟁?
몇몇 교수를 비롯한 사람들이 장군의 시조에서 일성호가를 오랑캐의 노래라고 가르치거나
오랑캐의 피리소리라고 말하는 것을 보았다
나는 한문을 전공한 것이 아니라 이렇다 저렇다 확신하여 말 할 순 없으나
원문에 '일성강적경첨수'라고 되어 있는데.. 이 강적(羌笛) 피리같은 것으로
이것을 누가 다시 풀어 써 일성호가(胡笳)라고 쓴듯 한데
여기서 호가(胡笳)는 풀피리쯤으로 해석되는 듯 하다
그런데 누군가 이 호가(胡歌)를 <오랑캐 '호'에 노래 '가'>로 알고
오랑캐의 노래소리라고 해석을 하는 것을 보았다
원문은 정확히 강적(피리)를 칭하고 있고
강적(羌笛)을 한자로 검색해보면
아래와 같은 악기가 나온다
오랑캐의 노래소리였으면.. 시 안쓰고.. 바로 수색들어가야 하는거 아닌가?
'나도 순정이 있다 > 시(詩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지하철 명시 - 김인권의 딜레마 (당산역) (0) | 2020.08.31 |
---|---|
정몽주 시조 단심가 - 이 몸이 죽고 죽어.. (이방원 하여가의 답가) (0) | 2020.08.28 |
이방원의 시 하여가(何如歌) - 이런들 어떠하리 저런들 어떠하리 (0) | 2020.08.25 |
태산이 높다하되, 양사언의 시조 태산가(泰山歌) (0) | 2020.08.23 |
이순신 장군 시 <무제> (선비가 장군이 되어) (0) | 2020.04.15 |
댓글